일상생활에서 자동차를 이용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하루에도 수십 번을 접하게 됩니다. 바로 교통 신호등입니다.
생각해 보면 거의 매일을 교통 신호등과 밀접한 생활을 하고 있는 셈입니다. 교통 신호등은 도로에서 위험을 방지하고 운전자와 운전자, 운전자와 보행자 간의 소통을 확보하게 됩니다.
신호위반은 운전자와 보행자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행동으로 12대 중과실에 해당하고 피해자와 합의가 있더라도 형사처벌을 피할 수 없는만큼 꼭 지켜야 합니다. 이런 신호위반이나 사고가 차량의 통행이 뜸하거나 지켜보는 사람이 적은 심야나 새벽 시간대에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곳의 교통 신호등은 대부분 짧은 시간 꺼졌다 켜졌다 반복하는 점멸 신호등인 경우가 많습니다.
점멸 신호등의 색상은 황색과 적색 점멸등이 있는데 이 두가지의 색상 차이를 알고 계시는 분들은 상당히 적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황색 점멸등과 적색 점멸등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황색점멸 신호
>> 좌우를 살피면서 서행
다른 교통 또는 안전 표지의 표시에 주의하면서 진행하여야 합니다.
적색점멸 신호
>> 일시 정지 후 진행
정지선이나 횡단보도가 있을때 그 직전이나 교차로의 직전에 일시 정지한 후 다른 교통에 주의하면서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90% 이상이 점멸 신호를 지키지 않고 신호 준수율은 황색 점멸등은 6%, 적색 점멸등은 9%입니다.
황복 4차로 및 제한속도가 60KM/H이하인 도로에서 한시간당 100명 미만인 곳으로 통행하는 곳에서 운영됩니다.
모든 신호등의 신호는 운전자에게 보내는 신호로 신호를 무시한 결과는 처참할 수 있습니다. 꼭 신호를 준수하시고 안전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도로 기물, 시설물 파손 시 뺑소니 기준과 처벌 (0) | 2024.03.20 |
---|---|
오토바이 면허 종류와 취득방법 (0) | 2024.03.20 |
자동차 배수구 위치와 관리 방법 (0) | 2024.03.18 |
자동차 면허증 적성 검사 기간 확인 방법과 준비물, 갱신법 등 총정리 (0) | 2024.03.16 |
반려견 안고 운전시 범칙금 (1) | 2024.03.15 |